멀고먼나라 이야기 : 과정과 결과
멀고먼 옛날 아득하게 먼 곳 어딘가에 멀고먼나라가 있었다.
기
여기 몇가지 진리에 가까운 사실이 있다.
두 가지 기준을 동시에 좇는 것은 누구에게나 어렵다.
뭐 이런 것들이겠지. 기준이 2가지가 되면, 힘들다.
- “빠르고 정확하게”, “안전하고 신속하게”
- “복스럽게 먹는데 날씬하게”
- “공부를 잘 하는데 놀기도 잘 논다.”
- “공학자들도 전문성을 키우는 동시에 인문학 소양을 갖추어야 한다.”
그리고 하나 더.
제도가 가혹해지면 사람들은 제도에 맞추려하고 하기 보다는 편법을 생각해 낸다.
그렇다. 인간 사회는 단순한 것이다.
승
멀고먼나라는 결과를 중시하는 결과주의사회였다. “성과는 결과로!” 평가와 실력의 증거를 결과로 보여야 한다. 성실하게 열심히 하겠다고 이야기 하면 결과로 보여달라는 답을 듣는다.
그래서 성실히 노력하는 대기만성형 인재가 성장해 나가기 힘들었다. 뜻을 펼 때까지 생존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동시에
멀고먼나라는 과정을 중시하는 과정주의사회였다. 업무 시간에 딴짓을 하는지 서로 의식하여 눈치 받고 눈치 준다. 개인의 능력 보다 더 중요한 것이 근퇴 성적이다.
그래서 영혼이 자유로운 천재들이 두각을 나타내기 힘들었다. 남들과 같은 틀에 억지로 꾸겨 넣어졌기 때문이다.
전
하지만 멀고먼나라에서는 이 모든 것이 약자들에게만 해당되는 내용이다. 강자에게는 과정이나 결과가 판단 기준이 되지 않았다.
그냥 강하다는 것만으로 모든 것이 용서되었다.
결
그리하여 멀고먼나라 사람들은 과정과 결과 모두 잘 해 내려 하지 않았다. 다만 어떻게 하면 힘이 세 질지 고민했다. 힘이 세 지면 그 모든 것들로 부터 열외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약자들에게 과정이든 결과든 원하는 것은 모든 요구해낼 수 있으니까.
그렇게 시간이 흘러 멀고먼나라에서 힘을 가진 사람들은 정치꾼, 아부꾼, 기회주의자 뭐 이런 사람들이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