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er를 DNS에 연결해 보자

AWS route53, 후이즈 등과 같은 도메인 등록 서비스에서 우선 Domain 주소를 구입한다.

그런 뒤에는 어떻게 하지? 나의 서버를 DNS에 어떻게 연결할까?

방법은 대표적으로 2가지이다.

연결방법

1. 고정IP인 경우

A record

my.goodsite.io → 192.163.12.345

2. 유동IP이거나 Vendor가 제공하는 주소가 있는 경우

CNAME record

blog.goodsite.io → blog.ap-northeast-1.elasticbeanstalk.com

둘의 차이에 대해서는 이 글을 참고하시라.

내게 맞는 방식 선택

Amazon web service의 경우 DNS를 연결하기 위해 위의 2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1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AWS의 고정IP에 해당하는 Elastic IP(EIP)를 할당받아야 한다. ( region 당 5개 밖에 할당되지 않으니 아껴 쓰자)

주의할 점이 있다. EIP가 발급되기 전에도 EC2에 public IP가 할당되어 있는데, 이 IP는 instance가 재가동 될 때 변경될 수 있다. 그대로 A record로 설정하면 어느 순간 연결이 되지 않을 수 있다는 뜻이다.

EIP의 설명과 사용법은 여기를 참고하시라.

발급된 EIP를 EC2와 연결시킨 뒤, EIP를 DNS 주소와 연결하면 된다.

2번은 elasticbeanstalk를 사용할 때 유용하다. elasticbeanstalk instance에는 blog.ap-northeast-1.elasticbeanstalk.com처럼 public DNS가 발급된다. DNS provider 설정에서 CNAME record에 등록해 주기만 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aws, google 등 Vendor에서 고정 domain을 부여한다면 후자의 방법이 더 쉽고 편하다.

Github page의 경우에도 주소가 고정되어 있어 후자의 방법을 쓸 수 있다. 다만 DNS provider에 CNAME record로 github-page 주소를 등록한 뒤에, github page setting에서 domain 주소를 등록해 주어야 한다. github에서 관련 내용을 설명한 문서를 참고하자.

... ... ... ...
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