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황


고문헌

동의보감 > 湯液篇卷之三 > 草部(下) > 麻黃 1.9

性溫一云平, 味苦一云甘, 無毒. 主中風傷寒頭痛, 溫瘧, 發表出汗, 去邪熱氣. 除寒熱, 五藏邪氣, 通腠理. 治溫疫, 禦山嵐瘴氣.

본초강목 > 草 麻黃_莖

  • 天行熱病 ; 傷寒雪煎 ☞ 傷寒
  • 傷寒黃疸 ; 裏水黃腫 ; 水腫脈沈 ☞ 黃腫
  • 風痺冷痛 ☞ 冷痛
  • 小兒慢脾 ; 尸咽痛痺 ; 産後腹痛 ; 心下悸病 ; 痘瘡倒黶 ; 中風諸病

本經疏證 卷七 中品 > 麻黃 1

麻黃, 味苦, 溫 微溫無毒. 主中風傷寒, 頭痛, 溫瘧, 發表出汗, 去邪熱氣, 止咳逆, 上氣, 除寒熱, 破癥堅積聚. 五臟邪氣, 緩急風脅痛, 字乳餘疾, 止好唾, 通腠理, 疎傷寒頭痛, 解肌, 洩邪惡氣, 消赤黑斑毒. 不可多服, 令人虛. 一名卑相. 一名龍沙. 一名卑相. 生晋地及河東. 立秋採莖. 陰乾令靑.

취상 : 伸陽氣於至陰中

  • 〔實者先天, 先天者物之性〕 麻黃之實, 中黑外赤 ☞ 由腎及心, 所謂腎主五液, 入心爲也.
  • 〔莖者後天, 後天者物之用〕 其莖宛似脈絡骨節, 中央赤, 外黃白 ☞ 由心及脾肺, 所以分布心陽, 外至骨節肌肉皮毛, 使其間留滯, 無不傾囊出也.

故栽此物之地, 冬不積雪, 爲其能伸陽氣於至陰中, 不爲盛寒所凝耳.

麻黃氣味輕淸, 能徹上徹下, 徹內徹外,

  • 故在裏則使精血津液流通,
  • 在表則使骨節肌肉毛竅不閉,
  • 在上則咳逆頭痛皆除,
  • 在下則癥堅積聚悉破也.

∴ 麻黃下能通腎氣, 而上能發心液爲汗, 及除肺家咳逆上氣

桂枝와의 비교

傷寒 ≠ 脈浮緊 ≠ 無汗 ; 中風 ≠ 脈浮緩 ≠ 自汗

  • 無汗不得用桂枝, 有汗不得用麻黃, 直捷了當也
  • 麻黃能由營通衛, 桂枝能由衛和營

처방 감별( 大靑龍湯, 越婢湯, 小靑龍湯 )

〔大靑龍湯〕與〔越婢湯〕對待, 固可以知表氣疏密.

  • 表氣實者, 不聚於營衛皮毛, 卽聚於肺. 心者覆於肺下, 表邪旣聚於肺, 心氣無從發舒, 故不汗出而煩躁者, 大靑龍主之.
  • 如盛寒之邪, 聚於皮毛營衛, 雖至一身悉腫, 在內之心氣, 猶可發舒, 故無大熱, 續自汗出者, 越婢湯主之 若在營衛皮毛爲腫, 則不必桂枝之通, 毋庸杏仁之降, 此大靑龍越婢之殊也.

〔大靑龍湯〕…… 與〔小靑龍湯〕對待, 尤可以知裏氣虛實.

  • 小靑龍寒水之化聚於 → 侵損胸中之陽爲內寒喘咳嘔噦 → 故佐以細辛乾薑
  • 與大靑龍之聚於 → 能束縛胸中之陽爲內熱煩躁 → 故佐以石膏

리증에 쓰인 마황

麻黃非特治表也. 凡裏病可使從表分消者, 皆用之

  • 若烏頭湯之治風, 射干麻黃湯, 厚朴麻黃湯之治咳, 甘草麻黃湯, 文蛤湯之治水, 則無表證矣.
  • 無表證而用麻黃, 則本經所謂止咳逆上氣破癥堅積聚者.

心腎과 마황

  • 心 〔通心陽, 散煩滿〕 惟心下悸一證, 絶不見可用麻黃蹤跡, 主以半夏麻黃丸, 其義最爲難釋. …… 用麻黃通心
  • 腎 〔治氣閉精凝虛熱內作之證〕 歷節不得屈伸疼痛, 烏頭湯主之

麻黃除寒熱 (vs 柴胡)

  • 柴胡所主之寒熱, 曰往來寒熱, 休作有時
  • 麻黃所主之寒熱, 一日二三度發, 日再發
    • 桂枝麻黃各半湯 (如瘧狀, 發熱惡寒, 熱多寒少, 一日二三度發)
    • 桂枝二麻黃一湯 (如瘧, 日再發)
    • 桂枝二越婢一湯 (發熱惡寒, 熱多寒少)

藥徵 卷之中 > 마황

麻黃 主治喘咳水氣也,旁治惡風、惡寒、無汗、身疼、骨節痛、一身黃腫。

약징 고징 마황

甚矣, 世醫之怖麻黃也.

처방 분석

  • 표준 용량 : 3兩
  • 최대용량방
    • 대청룡탕 (6兩) “惡寒, 身疼痛, 不汗出而煩躁”
    • 월비탕(6兩) “惡風, 一身悉腫”
  • 동명처방 : 마황탕(4兩) “身疼腰痛骨節疼痛, 惡風無汗而喘”
  • 단순처방
    • 감초마황탕(4兩? 3兩?) “裏水”
    • 마황순주탕(3兩) “黃疸”

방치 : 비슷한 빈도

惡風, 惡寒, 無汗

身疼, 骨節痛

一身黃腫

주치 : 喘咳水氣

喘咳병증 喘

水氣병증 水

결론

  • 〔喘咳水氣〕 호흡기 증상을 주소로 하고 동통을 동반하는 경우
  • ‘發汗’이라는 말에 얽매이지 말자

임상 메모

마황제 같은데

  • 주소증이 비염 (+ 惡寒, 頭痛) ☞ 마황탕
  • 주소증이 기침 (+ 心下有水氣, 혹 腹痛) ☞ 소청룡탕(소마황탕)
  • 주소증이 숨참 (+ 身痛) ☞ 대청룡탕(대마황탕)
  • 주소증이 동통 (특히 하지) ☞ 월비탕

약대

  • 계지의 유무(두통, 오풍)
  • 석고의 유무(번갈, 번조)
  • 행인의 유무(흉비, 흉만)

사용 주의

신중투여 대상 증례와 함께하는 한약처방

  • 병후 쇠약, 체력 저하 상태
  • 위장장애 → 식욕부진、오심구토 등이 초래될 수 있음
  • 발한이 심한 경우 → 과도한 발한으로 이어질 수 있음
  • 협심증、심근경색 등 명시된 심장질환이 있는 경우
  • 중증 고혈압, 신장애 및 배뇨장애
  • 갑상선기능항진증

사용량 비만처방에서의 안전한 마황사용 지침

  • 마황 전탕 기준 1일 4.5~7.5g, 6개월 이내로 사용
  • 에페드린 사용량 기준 1일 90~150mg까지 안전

참고자료


약재 모습

현대 이미지

포털이미지

고의서 도상

증류본초 마황 0009-0023_마황.jpg 증류본초

본초강목1 마황 마황.jpg 본초강목1

본초강목2 마황 마황.jpg 본초강목2

삼재도회 마황 마황.jpg 삼재도회

화한삼재도회 마황 마황1.jpg 화한삼재도회

화한삼재도회 마황 마황2.jpg 화한삼재도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