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자시탕


상한론

명칭: 梔子豉湯

한글명:치자시탕

처방 내용

처방 구성

梔子(十四箇,擘) 香豉(四合,綿裹)


제법

右二味,以水四升,先煮梔子,得二升半,內豉,煮取一升半,去滓。


처치

分爲二服,溫進一服。得吐者,止後服。

상한금궤 조문

《全書》 SSB-076 ☞diff

⒂發汗後水藥不得入口爲逆若更發汗必吐下不止 ⒂發汗吐下後虛煩不得眠若劇者必反覆顚倒心中懊憹梔子豉湯主之若少氣者梔子甘草豉湯主之若嘔者梔子生薑豉湯主之

若劇者,必反覆顚倒:〔法〕없음

《全書》 SSB-078 ☞diff

⒂傷寒五六日大下之後身熱不去心中結痛者未欲解也梔子豉湯主之

未欲解也:〔法〕없음

《全書》 SSB-081 ☞diff

⒀凡用梔子湯病人舊微溏者不可與服之

《全書》 SSB-221 ☞diff

⒂陽明病脈浮而緊咽燥口苦腹滿而喘發熱汗出不惡寒反惡熱身重若發汗則躁心憒憒反譫語若加溫鍼必怵愓煩躁不得眠 ⒂若下之則胃中空虛客氣動膈心中懊憹舌上胎者梔子豉湯主之

《全書》 SSB-228 ☞diff

⒂陽明病下之其外有熱手足溫不結胸心中懊憹飢不能食但頭汗出者梔子豉湯主之

不結胸:《康平》“小結胸”

《全書》 SSB-375 ☞diff

⒀下利後更煩按之心下濡者爲虛煩也梔子豉湯

금궤요략

명칭: 梔子豉湯

한글명:치자시탕

처방 내용

처방 구성

梔子十四枚 香豉四合,綿裹

제법

右二味. 以水四升,先煮梔子得二升半. 內豉,煮取一升半,去滓. 分二服. 溫進一服,得吐則止.

금궤요략 조문

《金匱》 GGY-17-045 ☞diff

下利後更煩按之心下濡者爲虛煩也梔子豉湯主之

참고자료

치자시탕 방극/방극산정

治心中懊憹者。

治心中懊憹者。

처방 분석

비교

황련제, 시호제 등과 구분 필요

가감방

임상 메모

주요 증상

虛煩、心中懊憹

心胸 心中懊憹

  • 心煩 煩熱、虛煩
  • 閉塞 胸中窒
  • 疼痛 心中結痛
  • 心下濡 按之心下濡

身熱 身熱不去、外有熱

  • 惡熱 惡熱
  • 手足溫 手足溫
  • 頭汗 但頭汗出

※ 다른 증상이 없다는 점이 단서가 될 수 있다.

참고 증상

소증 경향

  • 평소 더위 타는 경향 惡熱
  • 환자의 피부가 어둡고 누런 경향 身黃
  • 우울하고 활발하지 않은 경향 虛煩

불능식 飢不能食

설태 舌上胎

임상 응용

불면 虛煩不得眠

  • 원발성 불면
  • 피곤하나 입면 장애

만성피로

  • 몸이 무겁다 身重

급성간염

  • 불능식 飢不能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