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문헌
동의보감
性平, 味甘, 無毒. 解百藥毒. 爲九土之精, 安和七十二種石, 一千二百種草. 調和諸藥, 使有功, 故號爲國老. 主五藏六府寒熱邪氣. 通九竅, 利百脈, 堅筋骨, 長肌肉. 동의보감 > 湯液篇卷之二 > 草部(上) > 甘草 5.6
단방
- 赤白痢下
- 舌腫塞口 ; 太陰口瘡
- 傷寒咽痛 ; 肺熱喉痛
- 傷寒心悸
-
陰下懸癰 ; 陰頭生瘡 ; 陰下濕癢
- 小兒羸瘦 ; 大人羸瘦
-
肺痿多涎 ; 肺痿久嗽 ; 小兒熱嗽
- 發背癰疽 ; 諸般癰疽 ; 一切癰疽 ; 癰疽秘塞 ; 乳癰初起 ; 些小癰癤
-
代指腫痛 ; 凍瘡發裂 ; 湯火灼瘡
- 蠱毒藥毒 ; 小兒中蠱
-
牛馬肉毒 ; 飮饌中毒 ; 水莨菪毒
- 小兒
- 初生解毒 ; 初生便閉 ; 小兒撮口
- 嬰兒目澁
- 小兒遺尿 ; 小兒尿血
- 痘瘡煩渴
甘草, 味甘, 平無毒. 主五臟六腑寒熱邪氣, 堅筋骨, 長肌肉, 倍力, 金瘡腫, 時勇切, 解毒. 溫中, 下氣, 煩滿, 短氣, 傷臟, 咳逆, 止渴, 通經脈, 利血氣, 解百藥毒, 爲九土之精, 安和七十二種石, 一千二百種草. 久服輕身延年. 一名蜜甘, 一名美草, 一名蕗草. 生河西川谷, 積沙山, 及上郡. 二月, 八月, 除日採根, 暴乾, 十日成.
취상
甘草
- 春苗夏葉, 秋花冬實, 得四氣之全,
- 其色之黃, 味之甘, 迥出地黃與甘之上,
- 以是協土德, 和衆氣, 能無處不到, 無邪不祛, 此所謂主 〔五臟六腑寒熱邪氣〕也.
緩急1:急疾
土爲萬物母,
- 凡物無論妍媸美惡, 莫不生於土, 及其敗也, 又莫不歸於土.
- 化爲生生之氣, 則所謂能〔解百藥毒、安和七十二種石千二百種草也〕.
人之氣猶物之氣, 和順者, 其妍美也, 急疾者, 其媸惡也.
- 盡化急疾爲和順, 經脈自然通, 氣自然滑利, 於是〔肌骨堅、肌肉長、氣力倍〕矣.
- 特甘性緩, 甘彌甚者, 緩亦彌甚, 凡一身之氣,
因急疾爲患者, 能調之
, 縱弛而阻滯者, 非所宜也.
傷寒論金匱要略兩書中, 凡爲方二百五十, 用甘草者, 至百二十方, 非甘草之主病多, 乃諸方必合甘草, 始能曲當病情也.
- 凡藥之散者,外而不內 如麻黃湯、桂枝湯、靑龍湯、柴胡湯、葛根湯等
- 攻者下而不上 如調胃承氣湯、桃仁承氣湯、大黃甘草湯等
- 溫者燥而不濡 四逆湯、吳茱萸湯等
- 淸者洌而不和 白虎湯、竹葉石膏湯等
- 雜者衆而不群 諸瀉心湯、烏梅丸等
- 毒者暴而無制 烏梅湯、大黃䗪蟲丸等
- 若無甘草調劑其間, 遂其往而不返
甘草緩之至, 而治急疾之病, 著效甚速
緩急2:瀉火
甘草中黃皮赤, 入脾而兼入心, 此瀉火之說所由來也
- 心火急而乘脾 梔子甘草鼓湯
- 明其急疾之至, 謂非少陰之熱 甘草湯、桔梗湯
《全書》
SSB-076
☞diff
⒂發汗後水藥不得入口爲逆若更發汗必吐下不止 ⒂發汗吐下後虛煩不得眠若劇者必反覆顚倒心中懊憹梔子豉湯主之若少氣者梔子甘草豉湯主之若嘔者梔子生薑豉湯主之
¶若劇者,必反覆顚倒:〔法〕없음
甘草緩之至, 而治急疾之病, 著效甚速,
- 故雖實爲緩中補虛, 而謂之瀉火也可,
- 卽如別錄所謂〔溫中下氣、治煩滿短氣〕也, 亦無不可.
緩急3:煩滿
一人暑月煩懣 …
- 煩懣益甚, 昏不知人, 不能語言 …
- 以甘草一斤, 蒸露飮之, 飮盡而病退.
金創
甘草之甘緩解毒, 瀉火和中
生用炙用
- 除邪氣, 治金瘡, 解毒, 皆宜生用
- 緩中, 補虛, 止渴, 宜炙用
炙甘草湯(復脈湯)
- “脈結代,心動悸” 〔通經脈・利血氣〕
- “虛勞不足, 汗出而悶, 脈結悸. 行動如常” 〔煩滿短氣〕
- “治肺痿涎唾多, 心中溫溫液液者” 〔傷臟咳嗽〕
《全書》
SSB-177
☞diff
⒂傷寒脈結代心動悸炙甘草湯主之
¶傷寒:《康平》“傷寒解而後”
¶心動悸:《玉》“心中驚悸”
居中安土
- 和脾者, 安中宮陽氣之怫亂 甘草乾薑湯
- 和肝者, 通木臟陰氣之凝結 芍藥甘草湯
《全書》
SSB-029
☞diff
⒂傷寒脈浮自汗出小便數心煩微惡寒脚攣急反與桂枝欲攻其表此誤也得之便厥咽中乾煩躁吐逆者作甘草乾薑湯與之以復其陽若厥愈足溫者更作芍藥甘草湯與之其脚卽伸若胃氣不和譫語者少與調胃承氣湯若重發汗復加燒鍼者四逆湯主之
¶桂枝:《康平》“桂枝湯”
¶欲攻其表,此誤也:〔法〕없음
¶煩躁:《康平》“躁”
¶以復其陽:〔法〕없음
¶若厥愈足溫者:〔法〕”厥愈”
¶其脚卽伸:《康平》無此句
¶譫語者:〔法〕없음
¶復加燒鍼者:《康平》“復加燒鍼,得之者”
¶四逆湯:《康平》“回逆湯” 以下同
《金匱》
GGY-07-006
☞diff
肺痿吐涎沫而不能咳者其人不渴必遺尿小便數所以然者以上虛不能制下故也此爲肺中冷必眩多涎唾甘草乾薑湯以溫之
甘草乾薑湯, 制上中以及下, 能擴充以至外
芍藥甘草湯, 則制中下以及外, 能擴充以至內
制方之旨
- 桂枝黃芪五物湯 血痺 治下制方宜急, 急則去甘草而多其分數
- 桂枝加黃芪湯 黃汗 治上制方宜緩, 緩則加甘草而減其分數
《金匱》
GGY-06-002
☞diff
血痺陰陽俱微寸口關上微尺中小緊外證身體不仁如風痺狀黃耆桂枝五物湯主之
《金匱》
GGY-14-029
☞diff
黃汗之病兩脛自冷假令發熱此屬歷節食已汗出又身常暮臥盜汗出者此勞氣也若汗出已反發熱者久久其身必甲錯發熱不止者必生惡瘡若身重汗出已輙經者久久必身瞤瞤卽胸中痛又從腰以上必汗出下無汗腰髖弛痛如有物在皮中狀劇者不能食身疼重煩躁小便不利此爲黃汗桂枝加黃芪湯主之
甘草 主治急迫也,故治裏急、急痛、攣急,而旁治厥冷、煩躁、衝逆之等,諸般急迫之毒也。


처방 분석
- 표준 용량 : 3냥
- 최대용량방 : 4냥
- 동명처방 :
- 단순처방 :
처방군
치료 범위가 넓다 포함 처방 多
傷寒論金匱要略兩書中, 凡爲方二百五十, 用甘草者, 至百二十方, 非甘草之主病多, 乃諸方必合甘草, 始能曲當病情也. 本經疏證 卷二 > 甘草
계지제:好감초
- 계지 上衝 & 감초 衝逆、厥冷
- 예외:황기(皮水)가 강조된 처방 황기계지오물탕、황기계지고주탕
복령제:감초의 유무로 양분
- 소변배출(水毒)이 목적일 경우 감초 없음
- 갈증、부종이 있을 경우 감초 없음 택사(택사탕、오령산)、저령(저령산)、복령융염탕、규자복령산、팔미환
마황제:好감초 감초마황탕에서 파생
- 水와 관련된 약 가운데 유일하게 감초와 친밀
- 마황의 부종은 감초로 악화되지 않는다?
석고제:好감초
- 석고 煩渴 & 감초 煩躁
- 예외:水腫이 주치인 경우 목방기탕
시호제:好감초
- 시호 胸脇苦滿 & 감초 衝逆 → 신경증의 주제? 신경성 복통 등
- 예외:대시호탕
대황제:忌감초
- 복만이 뚜렷한 경우 감초를 쓰지 않는다.
- 예외:소화기 장애가 있는 경우 “秘閉急迫(食已卽吐)” 대황감초탕、조위승기탕、후박삼물탕
감초제:위장관 점막? 근육 경련 긴장 문제?
- 咽喉急痛(식도) 감초탕、길경탕、배농탕
- 脚攣急(근육) 작약감초탕、감수반하탕、작약감초부자탕
- 心腹急痛(식도、위장) 감맥대조탕、감초분밀탕、생강감초탕
- 裏急、厥冷(위장) 감초건강탕、사역탕류
부자제:감초의 유무로 양분
- 〔四肢〕厥冷、煩躁 주증 好감초 사역탕류、계지탕류、마황탕류 등
- 〔胸腹〕水毒 주증 忌감초 건강부자탕、대오두전、진무탕、부자탕、천웅산
치자、함흉、지실、귤피、파두、감수:忌감초
※ 煩、渴、躁
- 석고의 煩渴에는 好감초 체액부족?
- 택사、저령의 渴에는 忌감초 체액편중?
- 치자 心煩에는 忌감초
증상 분석 : 急迫 (裏急、急痛、攣急) 、煩躁 > 厥冷、衝逆
裏急
急痛
攣急
煩躁
임상 메모
주요 증상
참고 증상
환자 경향
현대 연구
인체의 수분 유지 작용??
- 알도스테론 유사작용
- 탈수 보정 감초건강탕、사역탕
인체 에너지 생성??
점막 생성
감초에 함유된 Glycyrrhizin(글리시리진)
- 항알러지작용
- NK세포(Natural Killer cell) 활성화작용
- 인터페론 생성
- 해열작용
- 위산분비를 억제하고 위점막을 보호함으로써 항 궤양작용
사용 주의
부작용
알도스테론 유사작용(가성알도스테론증 발현)
- ⓐ칼륨 배출 증가(저칼륨혈증) → myopathy(무력감、근력저하、근위축、사지경련、마비감)
- ⓑ나트륨 체액 저류 → 혈압상승, 부종, 체중 증가
- 중노년(50-70대) 여성에게 빈발 경향
부작용 의심 증후
- ⓐ과도한 칼륨 배출(저칼륨혈증)
- 근력저하、허탈감、사지무력감、보행곤란、근육통 등을 보일 때
- ⓑ나트륨 저류로 발현
- 기타
- 노년층 환자가 복약 후 기력 저하가 나타났을 때 (신부전)
- 투여 중지하면 자연 관해
참고자료
사용금기
- 수분 저류
- 부신기능저하증(Addison병), 가성알도스테론증
병용주의
저칼륨혈증 초래 위험
- 하루 2.5g 이상 사용시 이뇨제(루프계 및 thiazide계)와 병용 주의
권장사항
감초 관련 국제 권장사항 모유수유 중 의약품 (17) 감초
- 의료인의 자문 없이 4~6주 이상 써서는 안됨.
- 임신 중 임의투여 금지.
- 모유수유 중 임의투여 금지.
- 하루 50g이 넘는 감초 추출물 복용시 고혈압, 가성알도스테론증(pseudoaldo steronism) 가능성을 높이므로 주의해야 함.
- 장기 복용시 하루 20g을 넘지 않도록 함.
임상 응용
점막 궤양
- 아프타성 구내염
- 소양성 궤양 질환(식도염, 위염, 위궤양) 裏急
- 위통, 복통, 속쓰림
- 비유:바세린??
살 찌울때??
약재 모습
현대 이미지
포털이미지
고의서 도상
증류본초
본초강목1
본초강목2
삼재도회
화한삼재도회